기 획 - 친환경농산물인증제

이대로 좋은가
부실한 사후관리가 소비자 불신 부추겨
브랜드 없는 친환경농산물

  • 입력 2009.03.03 18:37
  • 기자명 이영창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친환경 인증마크가 붙은 제품을 구입하면서 비싼 대가를 치른다. 믿고 신뢰하기에 조금 비싸더라도 구입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비자의 신뢰를 받아야 할 친환경 농산물이 요즈음 신뢰를 잏고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모두가 사후관리가 부실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가장 먼저 친환경 인증이 적법하게 이뤄져야 하지만 인증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사후관리다.

사후관리는 인증 이후 3개월에 한 번씩 인증 농산물에 대한 시판품을 조사하고 그 결과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행정처분과 고발조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 인증기관의 인력부족으로 인증 농장에 대한 사후관리가 어려운 점을 악용해 일부 불성실한 농가에서 제초제를 살포하는 사례를 비롯해 민간인증기관은 수수료가 없다는 이유 등으로 사후관리를 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산물품질관리원 역시 "농가에 대한 인증과 사후관리는 인증기관의 책임 아래 이뤄진다" 며 "농산물품질관리원이 인력문제로 직접 농가를 관리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인증농가도 인증기관의 사후관리를 반기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사후관리가 실종되면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을 부채질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농관원과 전남지원은 함께 친환경 농산물 인증농장에 대한 일제조사를 벌인 결과 일부 농가에서 일손이 많이 든다는 이유 등으로 제초제를 사용한 223건의 1,122농가에 대한 인증을 취소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 불거진 민간 인증기관의 무더기 영업정지 처분으로 일부 중간 유통업자들이 전남산 친환경 농산물 유통을 꺼리는 등 대도시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에 등을 돌리게 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전남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으로 이어져 친환경 농산물의 판로가 막히고 선량한 농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전국에서 전라남도가 친환경농업 경작 면적이 60%를 차지하는 등 친환경농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을만한 브랜드는 손가락을 꼽을 정도다.

특히 친환경농산물 인증에서 논이 전체 경지면적의 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친환경농업단지 규모로는 80%를 넘어서고 있어 지역특산품의 인증실적이 낮은 편으로 친환경농산물 인증의 특성화를 정립하지 못하고 것 역시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나주지역도 마찬가지로 친환경농산물인증 브랜드가 쌀로 치중되어 있으며 그나마 각 농협마다 브랜드가 난립해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 지역 특산품인 나주배도 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친환경 인증이 각 개인이나 생산단체 등으로 분산돼 브랜드 역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 것.

왕곡면의 과수농가 박 아무씨(48세)는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획득한 농가에 대해서 단계별로 통합된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 며 "유기농, 무농약, 저농약으로 분리된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획일적인 관리와 포장재 및 포장단위 통합으로 유통에 적극 나선다면 친환경 인증과 나주배 브랜드의 시너지효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 이라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강원도를 비롯한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특산물이 친환경농산물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한편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며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