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의 수혜자와 피해자

  • 입력 2011.12.16 20:36
  • 기자명 김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7월 7일 자크 로게 IOC 위원장이 'PYEONGCHANG'이라고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발표한 순간, 당시 잠을 미루고 TV를 지켜보던 대한민국 국민 중 기쁘지 않은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스키장엔 가본 적도 없고 스케이트를 신어본 적도 없는 사람이라도 동계올림픽 3수에 도전하는 강원도 평창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개최지로 꼭 선정되기를 희망했을 것이다.

88년도 서울 올림픽이 국가적 자존심 제고를 위한 국제대회였다면 평창 동계올림픽은 경제효과를 기대하는 올림픽이다. 스키나 스케이트와 같은 동계스포츠가 대한민국에서 보편적인 운동은 아니다. 최근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긴 했지만 동계스포츠 강국도 아니다. 대한민국 사람들이 평창올림픽에서 기대하는 것은 '금'메달보다 '금' 그 자체인 것이다.

그래서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된 후 각종 장밋빛 경제 전망이 언론을 통해 집중소개되었다. 국가브랜드가 향상되고 선진국에 진입하는 발판이 되고 심지어는 경제효과가 65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반면 동계올림픽을 치르기 위해 최소 18조원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크게 받지 못했다. 그 비용을 누가 어떻게 부담할 것인지도 명확치 않다.

경기장 시설과 도로 등 접근시설은 중앙정부 예산으로 집행되기 때문에 일본의 나가노나 캐나다 밴쿠버처럼 동계올림픽을 치르고 지역정부가 예산부족으로 지역정부가 재정난에 빠지는 일은 없을 것 같다. 동계올림픽으로 인해 강원도 지역의 도로 교통이 개선되고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세상에 공짜가 없듯이 평창지역 주민들이 감수해야할 피해도 적지 않다. 우선 지역주민들 중 상당수가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잃게 된다. 올림픽을 이유로 강원도의 많은 땅과 계곡이 파헤쳐지고 그곳에 뿌리를 내린 사람들이 다른 곳으로 옮겨 가야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갈 곳은 많지 않다. 천정부지로 솟아오르는 땅값과 임대료 때문이다.

삼성이나 현대와 같은 대기업은 평창올림픽을 통해 엄청난 직간접 홍보 효과를 거둘 것이다. 스키를 즐기는 수도권 중산층에게도 수준높은 겨울 휴양지가 생길 것이다. 그러나 정작 평창지역 사람들에게는 '우리 지역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린다'는 자부심 외에 얻는 것이 별로 많지 않을 것 같다.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처럼.



장호순 박사
저작권자 © 나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