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림사업 수목선정에서 관리까지 엉망

산불 피해 조림지역 90% 고사한 곳도, 예산만 낭비

  • 입력 2013.11.04 15:22
  • 수정 2013.11.05 20:02
  • 기자명 정동안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특성 감안해 자연복원지역과 인공조림지역으로 나눠야

산불 피해지역의 조림사업이 잘못된 수종선택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예산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산불피해지역 조림 사업지를 살펴본 결과 많은 면적의 수목이 고사했거나 관리차원에서 풀베기 작업을 하면서 조림목 까지 베어버린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성산과 다도면 산불 피해지역 조림사업지 현장확인 결과 편백, 참나무, 리기테다 소나무 등을 식재했다. 토질에 따라 수종을 선택해 식재했다고 했지만 확인 결과 같은 토질에서도 잘자란 나무와 고사되어 10%정도만 살아있는 수종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부 능선 이상 지역에 심어놓은 리기테소나무는 80%이상이 잘 자라고 있고, 5부능선 이하 지역에 심어놓은 편백나무도 60%이상 더디게 자라고 있다. 하지만 7부 능선 아래 심어놓은 참나무는 90%가 고사되거나 풀베기 작업을 하면서 베어져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산주 김모씨는 “수종선택과 사후관리를 행정에서만 할 것이 아니라 주민과의 협의해서 선택하고, 관심을 갖고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식재하겠다는 동의만 얻고 조림사업을 해 주민은 관심이 멀어질 수밖에 없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산불피해지역에 전남도에서 몇 가지의 수종을 지정해놓고 선택해서 식재하라는 방침이다”면서 “토질을 분석해 수종을 선택하고 초기 생육을 돕기 위해 3년간 1회씩 풀베기작업을 하고 있지만 참나무는 잘 보이지 않아 관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나무는 한번 심으면 백년을 내다봐야 하므로 관리가 어려운 수종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먼저 산불피해지역의 수생상태를 잘 살펴보고 자연복원지역과 인공조립지역을 나눠서 사업을 하는 방법도 찾아봐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실례로 산불피해지 참나무 생육지는 햇볕이 많이 들어 어린 묘목이 올라오고 있다면 이는 인공조림을 하는 것보다는 더 빠르게 조림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