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치과를 가야 하는가?

  • 입력 2014.11.03 11:02
  • 수정 2014.11.03 11:04
  • 기자명 정용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용환 치과원장
      정용환 치과원장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치아가 혹은 치아 주변의 조직(그러니까 ‘잇몸’)에 확연하게 증상이 나타나면 그것은 큰일이 났다고 생각하면 틀림이 없다.

이것은 마치 맹장염이 걸렸을 때 몹시 아파서 결국 수술을 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치과 질병은 다른 의학분야의 질병과 달라서 스스로의 관찰(거울로 입속을 들여다보기)과 관리(잇솔질)가 매우 중요하고 또한 질병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된다.

내과의 병을 예로 들어 보자. 뱃속에 병이 있는 것은 아프다는 증상을 갖고도 병의 진단은 내과 의사에게 가야만 병이 걸렸는지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환자 스스로는 병에 대해 지식이 전혀 없고 뱃속을 들여다 볼 수도 없으니까.

그러나 치과질환은 이런 점에서 다르다. 치아들은 전부 보이는 데에 있기 때문에 스스로 잘 만 관찰하면 치과의 질병은 누구나 찾아낼 수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총기(?)있는 환자들이 먼저 자기 이빨이 썩고 있다고 진단(?)을 내려 가지고 치과에 들르는 예가 많이 있다. 그렇다. 치과의 3대 질병으로 분류되는 충치(이빨이 까맣게 썩는 것), 풍치(잇몸이 붓고, 피가 나며, 심하면 이가 흔들리기까지 하는 이른바 잇몸의 병), 그리고 부정교합(흐트러진 치열 혹은 주걱턱)은 상식적인 눈을 갖고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다른 말로하면 치과질환의 책임은 거의 100% 환자의 책임이라는 것이다.

물론 선천적으로 치아가 너무 약해서 충치를 늘상 관찰하지만 1년도 안되어 또 충치가 재발되고 하는 그런 환자들도 있긴 하지만 본인의 견해에서는 극히 일부라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가 썩는 것은 하루아침에 ‘푹석’하고 썩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적어도 성인의 경우는 1년이상 지나도록 초기의 충치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우선 중요한 점은 치과에 가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치과를 젊어서 두려워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늙어서 ‘틀니’를 장착하고 후회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처음에 아무렇지도 않을 때 치과를 방문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그래도 유비무환, 아무렇지도 않을 때 1년에 한번쯤 친분이 있는 치과를 방문해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매우 현명한 일이다.

솔직히 말해서 필자도 치과의사이지만 치과 치료대에 누우면 식은땀이 나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필자 스스로 복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은 치과라는 학문을 택했기 때문에 치과를 알게되었고 그 뒤로 입 속 관찰 및 잇솔질을 열심히 해서, 치과병을 스스로 잘 관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