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나주의 희망을 얘기하고

미래를 구상하는데 힘을 쏟자

  • 입력 2007.09.01 12:49
  • 기자명 마스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방자치가 가지는 의미가운데 하나는 주민이 스스로의 책임아래 모든 일을 처리하는 것이다. 주민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민주주의 원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해결한다는 뜻이다.

모든 의사결정이 주민의 편에 서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우리는 지방자치를 풀뿌리민주주의라고 부른다.

풀뿌리 민주주의! 이 얼마나 멋지고 생명력 넘치는 말인가.

민중정신이 가득담긴 동학. 일제강점기에 조국과 민족을 위해 초개와 같이 몸을 바친 의로운 항거. 이 땅의 민주주의를 위해 온 몸을 내던진 모든 이들을 우리는 민초라 부른다. 그 속에 바로 풀뿌리가 담겨있다. 역사의 주인이 바로 민중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가 담겨있기에 우리는 지방자치를 일으켜 세우는데 많은 피와 땀과 노력을 투자했다.

동장에서부터 대통령까지 우리의 손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반독재투쟁을 전개한 우리 모두는 지방자치 실시를 가슴으로 반겼다.  해방이후 1948년 제정된 제헌헌법엔 지방자치를 보장했다.

1952년 처음으로 지방의회 선거가 실시되고 이후 10년간 지방자치를 실시했다.

그러다 1961년 박정희정권에 의해지방자치법에 관한 임시조치법 이 공포되면서 지방자치는 정면으로 중단되는 아픔을 겪었다.

더구나 박정권은 1972년 유신헌법을 제정하면서“통일이 될 때까지 지방자치를 실시하지 않음”을 명시하여 우리 사회는 영영 지방자치가 되돌아오지 않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민중의 힘은 바로 풀뿌리를 가슴에 담아 1991년 지방의회 선거를 치르게 된다. 반쪽짜리 지방자치란 오명을 벗은 1995년 마침내 자치단체장까지 우리의 손으로 뽑는 동시지방선거를 치르고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민선1기가 시작되고 어느 덧 민선4기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지역공동체를 향하여 나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 선조들이 이루었던 공동체는 근현대를 거치면서 끊임없이 해체되고 이젠 현대적 의미의 지역공동체의 싹을 틔우기 시작했다.

지방자치제의 도입과 참여민주주의의 발전을 통하여 새로운 공동체가 창출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공동체가 옛날엔 농업중심의 생활공동체의 의미를 담고 있다면 현재는 일정지역내 주거를 중심으로 주민참여와 자치에 기초한 행정, 사회, 교육, 문화, 예술, 환경, 복지 등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공동체의 의미를 담고 있다.

지역공동체의 발전은 시민들의 참여와 자치의 실현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시민 참여와 자치가 보장될 때 지역발전도 보장된다. 지역사회의 의사소통구조와 결정구조가 얼마나 시민을 중심에 놓고 민주적으로 이루지고 있는가가 공동체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장황하니 지방자치와 지역공동체의 의미를 내 나름대로 정리해보는 것은 지금 우리 나주의 현실이 너무나 참담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시민의 손으로 직접 선택한 나주시장이 각종 고소고발로 시정에 전념할 수가 없다는 소리가 들리면서 한시도 조용할 날이 없어서다.

얼마나 많은 고소고발이 난무하길래 시장이 업무를 볼 수 없다는 것일까. 시장이 얼마나 많은 죄를 저질러서 그토록 많은 고소고발을 당할까.

일반인들도 가급적이면 고소고발을 자제하는데 도대체 나주시장은 얼마나 큰 죄를 저질러서 본연의 업무를 볼 수 없을 정도로 경찰에 검찰에 법원에 불려 다니면서 조사를 받아야 하는가.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은 또 얼마나 불안하고 초조하겠는가.

나주라는 공동체가 앞으로 어떻게 되어갈 것인가. 우리의 손으로 이룩해낸 풀뿌리 민주주의가 송두리째 무너져 내리는 것은 아닌가하는 많은 생각을 해본다.

나주시장은 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