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척결과 신문의 역할

  • 입력 2011.12.16 20:08
  • 기자명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치인이 개입하면 안되는 일이 없고, 여야 정당은 낙하산 인사와 지역구 챙기기로 국가재정을 좀먹는 나라. 고용이 보장된 공기업의 노조는 파업을 일삼고, 프로 축구선수들은 승부조작을 하는 나라. 그럼에도 부정부패로 처벌받는 사람은 극소수인 나라. 거리에서는 국민들의 과격 시위가 끊이지 않지만, 그럼에도 민주주의 국가라고 으쓱대는 나라. 어느 나라일까? 대한민국? 아니다. 그리스이다.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60%에 달하는 국가부채로 국가부도 위기에 몰린 나라이다.

서구식 민주주의 발원지이고, 오랜 역사유적과 아름다운 지중해 연안을 갖고 있는 관광국가이며, 2008년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그리스. 그런 나라가 졸지에 세계 경제의 뇌관으로 전락했다. 그 원인은 그리스 국가 전반에 만연한 부정부패라는 것이 서방 언론의 공통적인 진단이다. 부정부패 감시단체인 Transparency International에 따르면, 그리스는 유로화를 사용하는 16개 국가 중 가장 부패지수가 높은 국가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왜 그리스는 부정부패가 심한 국가일까? 그 원인이야 다양하겠지만, 신문이 무기력하다는 점도 그 중 하나일 수 있을 것 같다. 부정부패의 방부제 역할을 하는 언론의 기능이 그리스에서는 발휘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다양한 언론매체 중 신문은 부정부패의 감시와 고발 기능이 가장 탁월하다. TV의 경우, 화면이 없는 뉴스는 회피하는 경향이 강하다. 현장 화면이 없다면, 뉴스로 채택되거나 비중있게 다뤄지기 힘들다. 따라서 은밀하게 이뤄지는 권력층의 비리나 복잡하게 얽혀있는 부패의 사슬을 TV가 파헤치기는 쉽지 않다.

신문은 은밀하고 복잡한 부정부패의 고리를 파헤칠 수 있는 최적의 언론 매체이다. 제보자의 익명을 보장해주면서, 부패의 고리를 파헤쳐낼 수 있고, 기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과 그리스 모두 그러한 신문의 부패감시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지역신문이 부실한 상태라, 지역단위에서 발생하는 부정부패는 거의 사각지대나 다름이 없다. 최근 저축은행 비리나, 끊이지 않고 반복되는 지역단체장과 지역의원의 비리연루 뉴스가 그러한 점을 입증한다. 그리스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라도, 신문의 부패감시 기능, 특히 지역신문의 부정부패 감시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조속히 강구되어야 한다.



장호순 박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