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지역갑부가 나와야 한다

  • 입력 2011.12.20 11:43
  • 기자명 김준 기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또 광풍이 또 한 번 지나갔다. 근 3년 만에 로또 1등이 이월되어 당첨금액이 300억원을 웃돌 것이라는 언론보도 덕분에 전국 각지의 로또판매점에는 긴 줄이 세워졌다. 로또 말고는 '인생 역전'의 꿈을 꾸기조차 힘든 민초들의 긴 행렬이 이어졌다.

그런데 인생 자체를 로또에 내맡기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고시합격, 대기업 입사와 같은 인생역전을 기대하며 수도권 고시촌에서 비참한 젊은 날을 보내고 있는 비수도권 출신 젊은이들이다. 시험에 대한 압박은 물론 열악한 잠자리와 먹거리로 인해 소위 '고시폐인'이 되고 만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성장한 아이들이 수십억대 아파트와 수억대 외제차로 상징되는 서울 강남의 부자가 될 가능성은 로또 1등 당첨 확률과 거의 비슷하다.

대한민국에서는 미국의 스티브 잡스나 워렌 버핏과 같이 자기가 태어난 고향에 근거들 둔 성공기업인 모델이 드물다. 얼마전 사망한 스티브 잡스는 실리콘 발리로 상징되는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 북부 지역이 배출해낸 기업가이자 갑부이다. 1970년대 조성되기 시작한 캘리포니아 지역의 컴퓨터 산업 덕분에 잡스는 많은 발명가와 기업가들을 만나고 교류할 수 있었다. 그가 미국 동부나 남부에서 성장했다면 결코 아이폰과 같은 혁신적 제품을 만들어내지 못했을 것이다.

미국 최고의 갑부로 상징되는 워렌 버핏도 자신의 고향을 발판으로 성공한 기업인이다. 버핏은 잡스처럼 기업을 직접적으로 경영해 부자가 된 것이 아니다. 스티브 잡스가 자신이 태어나 성장한 지역의 영향을 긍정적으로 활용한 사례라면 버핏은 자기 지역의 한계를 극복해 부자가 된 사례이다.

미국 동부 명문대학을 졸업한 버핏이 고향인 네브라스카 주 오마하로 돌아가 투자사업을 시작할 당시 버핏은 뉴욕에 본부를 둔 거대 투자회사들과 경쟁해야했다. 버핏의 치명적 약점은 뉴욕의 증권투자회사들 처럼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빨리 얻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당시는 아직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었다. 버핏이 경제정보나 뉴스를 신속히 입수하기 위해 오마하의 월스트리트 저널 지국과 특약을 맺어 신문을 자기 집으로 가장 먼저 배달되도록 했다. 대신 버핏은 정보에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이 투자하려는 회사를 직접 방문해 현장을 살피고 경영자들을 만나고 결정하는 투자방식을 택했다.

서울로 가야 대도시로 가야 출세를 하고 부자가 되는 시대는 지나가야 한다. 그렇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한국 젊은이들은 서울이나 대도시에 머물러야만 성공한다는 환상을 갖고 있다. 자신의 인생을 '고시로또'나 '서울로또'에 맡기던 젊은이들이 고향으로 돌아가 성공한 기업가로 변신하는 시대가 와야 한다.



장호순 박사
저작권자 © 나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